[ 자료구조 ] 트리(Tree)
·
자료구조
1. 트리(Tree) 트리는 노드(Node)로 이루어져 있는 자료 구조입니다. 트리는 하나의 루트 노드를 갖고 있으며, 0개 이상의 자식 노드를 갖고 있습니다.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하지 않기 때문에 비선형 자료구조입니다. 노드 간에 부모 자식 관계를 갖고 있는 계층형 자료구조이며 모든 자식 노드는 하나의 부모 노드만 갖고 있습니다. 순환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트리 내에 또 다른 트리가 존재하는 재귀적 자료구조입니다. 2. 트리의 구성 요소 및 관련 용어 1) 트리의 구성요소 노드 ( Node ) - 트리를 구성하고 있는 기본 요소 - 정점이라고도 부른다. 간선 ( Edge ) - 노드와 노드를 연결하는 선 - 노드의 개수를 N개라고 하면, 간선의 개수는 N-1개이다. 루트노드 ( Root Node )..
동적 계획법(DP) [Python]
·
Algorithm
동적 계획법 알고리즘에 들어가기 앞서 Python이라는 언어는 동적인 언어라는 것을 인지하고 있으면 편합니다. Python은 C, C++처럼 변수의 자료형을 지정하지 않고 단순히 선언하는 것만으로도 값을 지정할 수 있으며, 변수의 자료형은 코드가 실행되는 시점에서 결정됩니다. 프로그래밍에서 정적(Static)과 동적(Dynamic) 정적과 동적의 차이점은 쉽게 말해서 정적(Static) - 한 번 정해놓으면 쉽게 변하지 않는 성질 동적(Dynamic) - 상황에 따라서 쉽게 변하는 성질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x = 10 print(type(x)) x = '10' print(type(x)) >>> >>> 파이썬은 위와 같이 단순히 값을 다르게 선언하는 것 만으로도 동적인 모습을 보여줍니다. 동적 계획법..
[Python] 문자열 관련 함수
·
Python/자료형
1. 문자열 관련 함수 ① 대 · 소문자 1) upper - "문자열" . upper() - 문자열을 모두 대문자로 바꿔준다. a = "abCDe" print(a.upper()) >>> ABCDE 2) lower - "문자열" . lower() - 문자열을 모두 소문자로 바꿔준다. a = "abCDe" print(a.lower()) >>> abcde 3) swapcase - "문자열" . swapcase() - 대문자 → 소문자, 소문자 → 대문자로 바꿔준다. a = "abCDe" print(a.swapcase()) >>> ABcdE 4) capitalize - "문자열" . capitalize() - 첫 글자를 대문자로 바꿔준 후 나머지 글자들은 소문자로 바꿔준다. a = "abCDe" print(a...
[Python] 문자열
·
Python/자료형
1. 문자열 - 문자열(String)은 문자, 단어 등으로 구성된 문자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 문자열을 표현할 때는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1) 큰 따옴표로 양쪽 감싸기 "Hello" 2) 작은따옴표로 양쪽 감싸기 'Hello' 3) 큰 따옴표 3개로 양쪽 감싸기 """Hello""" 4) 작은 따옴표 3개로 양쪽 감싸기 print('''Hello''') ※ 작은따옴표 3개 - 파이썬에서 작은따옴표 3개(''' ''')는 문자열 표현이 아닌 여러 줄을 한꺼번에 주석 처리할 때 사용된다. - # 은 한 줄 주석 처리 # 한 줄 주석처리 ''' 여러 줄 주석처리 ''' 2. 이스케이프 코드(Escape Code) - 프로그래밍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미리 정의해 둔 '문자 조합' - 키보드 Enter위의 ..
HeoN97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